간단명료
ROWNUM = 2 로는 두 번째 ROW를 출력할 수 없다. (참고 https://jimoo-vision.tistory.com/21 ) DECODE 의 결과 값은 STRING 타입이다. 대소문자 구분하지 않고 문자열을 출력하고 싶은 경우 양 쪽 다 대문자 및 소문자로 만들면된다. SELECT ANIMAL_ID,NAME FROM ANIMAL_INS WHERE UPPER(NAME) LIKE '%EL%' AND ANIMAL_TYPE = 'Dog' ORDER BY NAME관련 문제 : [https://github.com/chogyujin/Programmers/blob/main/SQL/016.%20\*String%2C%20Date%20%EC%9D%B4%EB%A6%84%EC%97%90%..
평소엔 잘 신경쓰지 않다가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차이를 확실히 알았다. Boolean 은 null 가능 !! boolean 은 null 불가 !! 따라서 Boolean 으로 변수 선언한 경우 null이 들어가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마찬가지로 int는 null을 못 넣고 Integer은 넣을 수 있다.)

4.3.1 기본 메커니즘 Build 단계 : 작은 쪽 테이블(Build Input)을 읽어 해시 테이블(해시 맵)을 생성한다. Probe 단계 : 큰 쪽 테이블(Probe Input)을 읽어 해시 테이블을 탐색하면서 조인한다. select /*+ ordered use_hash(c) */ * from 사원 e, 고객 c where c.관리사원번호 = e.사원번호 and e.입사일자 >= '19960101' and e.부서코드 = 'Z123' and c.최종주문금액 >= 20000해시 조인은 use_hash 힌트로 유도하며 위 SQL에 사용한 힌트는 사원 테이블 기준으로(ORDERED) 고객 테이블과 조인할 때 해시 조인 방식을 사용하라(use_hash)고 지시하고 있다. Bui..

EZ Learning 내 "업무에 바로 쓰는 SQL 튜닝 입문" 강의 중 도움이 되는 부분을 캡처하여 올린 부분이다. 평소 SQL 개발 및 튜닝 시 참조하면 좋을 듯 하다.

조인 컬럼에 인덱스가 없을 때 대량 데이터 조인이어서 인덱스가 효과가 없을 때 옵티마이저는 NL 조인 대신 소트 머지 조인이나 해시 조인을 선택한다. 해시 조인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대량 데이터를 조인하고자 할 때 소트 머지 조인을 사용한다. 4.2.1 SGA vs. PGA 공유 메모리 영역인 SGA에 캐시된 데이터는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할 수 있지만, 동시에 액세스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액세스를 직렬화하기 위한 Lock 메커니즘으로 래치(Latch)가 존재한다. 데이터 블록과 인덱스 블록을 캐싱하는 DB 버퍼캐시는 SGA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먀, 여기서 블록을 읽으려면 버퍼 Lock도 얻어야 한다. (1.3.8 https://gyujingyujin.tistory.com/13?category=..